글쓰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예술_창작_느낌_감정_표현 감정이란 무엇인가 ? 느낌인가 생각인가 아니면 착각인가 ? 같은 상황에서 서로 다른 감정을 가지는것은 당연한것인가? 감정의 공유는 가능한가 ? 대화의 시작은 공감할수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그 끝이 좋을수도 나쁠수도 있다. 감정을 개념화 하는것 자체가 모순일수 있다 왜냐면 모순적인 감정들이 상호공존하는 경우가 너무나 많고 아무도 감정의 메커니즘을 정확히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는 단지 입구와 출구를 알고 있을 뿐 그 방안에서 무슨일이 어떻게 벌어 지는지 모른다. 혹은 입구 조차도 모르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런한 경우 공감은 추측이 된다. 공감이 같은 일을 같이 느끼고 다른 상태에서 같은 상태로의 전환을 의미 한다면 추측이 틀린 경우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예술은 그림,음악,무용,조각 등등 구분에 관계.. 더보기 글쓰기 1. 왜 말하는가 ? 주제의 목적이 설득력이 있으며 정당성을 증명할수 있는가 ? 2.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 목적에 달성하는대 적당한 소재이고 논리적 구조이며 감성적 스토리전개가 가능한가 ? 3. 어떻게 말하는가 ? 정확하게 - 한가지 의도로 일관성을 유지한다. 빠짐없이 - 범위와 구조를 분명히 하고 내용을 생략없이 쓴다. 간결하게 - 반복없이 짧게 단순한 구조로 기술한다. 쉽게 -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고 목적을 분명하게 쓴다. 더보기 바바라 민토 - 논리의 기술 바바라 민토, 논리의 기술 바바라 민토 지음, 이진원 옮김/더난출판사 글(문서)은 생각의 표현이다. 표현은 1차적으로 독자에게 읽혀져 공감을 얻고 2차적으로는 행위를 유도 하기 위해서이다 나의 의도가 상대방의 사고나 행동에 영향을 주고자 함이다. 영향력을 행사하려면 독자가 어려움 없이 받아 들이도록 글을 써야한다. 먼저 결론이 명확하게 한문장으로 아니 한단어로 표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결론을 정당하게 만든는 이유를 나열해본다. 무작위로 나열된 이유간의 인과관계나 상관관계 또는 공통점등으로 그룹핑한다 인지대상이 7가지 이상이면 의식적 노력없이 기억하기 힘들진다. 대상을 그룹핑하면 대상의 수는 적어져 대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려 하는 인지속성에 부합한다. 그룹핑이 어떤한 근거로 이루어졌는지 논리적인 방..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