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좋아보이는것들의 비밀 - 최경원

모순 2007. 6. 19. 10:47

Good Design
최경원 지음/길벗

셋째마당 아름다움을 구체화하는 형태 원리

1장 시각적 정리정돈 -  명확성
1.  필요 없는 것 버리기 - 필요한 것과 필요 없는 것 구별하기 -  통일(일체)감
2.  필요 없는 군살 빼기 - 형태를 단순화 & 특징강조
3.  비슷한 요소끼리 묶어주기 - 그룹핑
4.  서로 다른 요소 연결하기 - 블럭 맟추기, 동세, 실루엣(덩어리), 선흐름과 면적비

2장 조형적 뼈대를 구축하는 형태간의 관계  = 구조 > 구도 > 느낌
1.  반복 구조 -  일체감
2.  대칭 구조 -  안정감(딱딱함), 질감의 변화, 상하좌우대칭, 장식적 대칭구도
3.  비대칭 구조
       안정적인 비대칭 구조  
           균형 잡기 -  배경과 하나의 모양 또는 여러개의 모양  
           비대칭 구조이면서 안정적인 구조 -  삼각구도의 이용
           비대칭 구조에 포인트 주기
           반복을 통한 변화와 안정감 획득하기
       역동적인 구조 -  형태이미지와 구도의 불안정이 역동적인 느낌을 만든다.

3장 나눔의 미학, 비례 = 조형미(전체)
1.  비례의 원리 -  리듬감
2.  비례 감각 내면화하기 -  삼각형으로 면 나누기,직선 네 개로 면 나누기 ,복잡한 형태의 비례
3.  비례를 잡아가는 과정 -  전체구조 > 한개 형태의 비례 > 형태의 어울림 > 일체감 > 비례 > 균형

4장 조형의 변증법, 대비 -  주목성
1.  형태 대비
       비슷한 형태의 대비
       서로 다른 형태의 대비
2.  면적 대비  -  변화와 통일을 위한 방법, 면적 대비

넷째마당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색의 원리
2장 인접색 -  색의 조화 

기본 삼색에 중간색을 더하여 오색띠을 만들고 중간색을 교환, 인접색과의 10단계 색상변화
1.  빨간색 계통의 인접색 조화  
2.  노란색 계통의 인접색 조화
3.  파란색 계통의 인접색 조화

3장 보색 대비 -  색의 주목성
면적대비를 병행, 보색의 주조색과 포인트색을 바꾸고 명도를 조절
1.  노란색과 보라색의 보색 대비 - 세련된 느낌,  노랑(포인트) > 보라(주조색)
2.  파란색과 오렌지색의 보색 대비 - 발랄한 느낌, 오렌지(포인트) > 파란(주조색)
3.  빨간색과 녹색의 보색 대비 - 강렬하며 가정적이며 따뜻한 느낌, 빨간(포인트) > 녹색(주조색)

4장 명도 -  색을 조화시키는 열쇠

1. 명도의 단계 -  삼원색의 명도 단계
2. 색의 조화에서 밝기의 역할 -  색상차가 크면 명도차이도 크고 명도가 고르게 분포되야한다

5장 채도
1. 채도를 통한 풍부한 색의 구현 -  색의 스펙트럼은 원색을 섞어서 만든다.
2. 채도 떨어뜨리기 - 보색 섞기 ,무채색 섞기
3. 중채도와 저채도 색의 배색 - 비슷한 색끼리 배치(인접색), 다른 색끼리 배치(보색)

### 정  리 ######################################################

명확한 형태만들기 -  게슈탈트원리는 형태를 간결하게 표현한다.

1. 자르기 - 군더더기를 삭제해본다.

2. 간결, 폐쇄 - 모양을 좀 더 간결하게 바꾸어 본다.

3. 근접, 유사 - 그룹핑효과로 내용을 압축한다

4. 연결, 친숙 - 맥락을 부여한다.


느낌만들기(구도) - 감정은 이미지요소 간의 상대적 위치와 크기로 표현한다.

1. 대칭

2. 비대칭 -  안정, 역동성

3. 반복

4. 속도

개관적 조형미(비례) -  일체감은 시선의 순환을 가져온다.

1. 전체구도 - 한눈에 보이는 실루엣

2. 리듬 - 변화의 강약은 시선을 유도한다.

3. 균형 - 시선이 전체를 볼수 있는가?

초점만들기(대비) - 결국 시선은 어디로 모이는가?

1. 형태

2. 면적

3. 색상

색상만들기 - 색은 형태를 만든다. 형태는 색을 만든다. 변증법 관계이다.

1. 인접색 (채도) - 안정감

2. 보색(대비) - 면적대비와 명도차

3. 명도 -  색차와 명도차는 비례관계가 있다.